출산·육아·교육 모든 과정에서 평택시는 전국 최고 수준의 지원 정책을 운영하고 있다.
출산율 감소로 인해 정부와 지자체의 육아 지원 정책이 강화되는 가운데, **평택시는 전년도 대비 출생아 증가율 1위(10.8%)**를 기록하며 긍정적인 성과를 내고 있다.
출산부터 보육, 교육까지 부모 부담을 줄이고 아이들이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체계적인 지원이 이루어지고 있다.
평택시, 출생아 증가율 전국 1위
- 2024년 평택시 출생아 증가율 10.8% (전년도 대비 전국 대도시 중 1위)
- 전국 2023년 합계출산율: 0.72명 (초저출산 현상 지속)
- OECD 평균 합계출산율: 1.58명(2021년 기준)
- OECD 국가 중 합계출산율이 1명 미만인 유일한 국가 = 대한민국
이러한 위기 속에서 평택시는 출산율 반등을 위한 적극적인 정책을 펼치며, 아이 키우기 좋은 도시로 자리 잡고 있다.
1. 평택시 임신·출산 지원 정책
출산을 앞둔 가정을 위해 건강검진, 출산축하금, 산후조리 지원 등 다양한 혜택이 제공된다.
임신·출산 의료 및 비용 지원
지원 | 항목지원 | 금액지원 대상 및 내용 |
임신 사전 건강관리 지원 | 18만 원 | 생애 1회, 임신 준비 부부 대상 |
신혼부부·임산부 건강검진 | - | 풍진항체, B형간염, 성병검사 등 8종 22개 항목 지원 |
임신·출산 진료비 바우처 | 100만 원 | 국민행복카드 지급 |
임산부교실 운영 | - | 모유수유, 출산, 양육, 태교 교육 프로그램 |
출산축하금 | 최대 500만 원 | 첫째 100만 원, 둘째 200만 원, 셋째 300만 원, 넷째 500만 원 |
첫만남이용권 | 300만 원 | 출생아 1인당 지원 |
경기도 산후조리비 지원 | 50만 원 | 출산 가정 대상 |
공공산후조리원 조성 | - | 2026년 개원 목표, 서부지역 산후조리원 확충 |
영유아 건강검진 | 39만 7천 원 | 8차 지원 (생후 14일~71개월까지) |
미숙아 영양제 지원 | 13만 원 | 영양제 10개월분 지급 |
2. 양육·보육 지원 정책
출산 후 원활한 육아를 위해 보육·양육 지원금과 함께 공공 보육시설 확충이 추진되고 있다.
아이 돌봄 및 보육비 지원
지원 | 항목지원 | 금액지원 대상 및 내용 |
국가 예방접종 비용 지원 | 201만 원 | 0~12세 대상, 18종 예방접종 비용 지원 |
부모 급여 | 1,800만 원 | 0~1세 아동 대상 |
영유아 보육료 지원 | 1,480만 8천 원 | 2~5세 어린이집 지원 |
아동수당 | 960만 원 | 0~95개월 아동 대상 |
급식비 지원 | 1,147만 1천 원 | 어린이집·유치원·초·중·고등학생 급식비 지원 |
둘째 아이 돌보미 지원 | 30만 원 | 아이돌봄 서비스 이용 가구 |
공공 보육·육아 인프라 확대
지원 항목사업 | 내용 및 시행 기간 |
공공산후조리원 신설 | 2026년 개원 목표 (안중읍 송담리 위치) |
어린이 창의체험관 건립 | 2025년 착공 예정 |
국공립 어린이집 기자재비 추가 지원 | 신축 500세대 이상 공동주택 내 어린이집 대상 |
어린이집 안전공제회 단체가입 지원 | 관내 어린이집 재원아동·보육교직원 대상 |
어린이집 공기청정기 추가 지원 | 보육실 및 공동놀이실 공기청정기 설치 지원 |
3. 교육 지원 정책
평택시는 공교육 강화 및 맞춤형 교육 지원을 통해 학생과 학부모의 부담을 줄이고 있다.
진로·진학 및 학업 지원
지원 항목지원 금액지원 대상 및 내용
지원 항목지원 | 금액지원 | 대상 및 내용 |
진로·진학 지원 | - | 진로 박람회, 대학입시설명회, 직무 체험, 대학탐방 등 |
고등학교 신입생 교복비 지원 | 30만 원 | 중학교 졸업생 대상 |
고등학교 무상교육 지원 | 507만 9천 원 | 고등학교 전 학년 대상 |
공교육 사각지대 지원
지원 항목 | 지원 내용 |
공교육 사각지대 해소 | 원어민 영어강사 지원, 스마트스쿨, 방과후학교 지원 |
결론 및 시사점
평택시는 출산율 증가 및 보육환경 개선을 위해 적극적인 지원 정책을 펼치고 있다.
- 임신·출산에서 교육까지 폭넓은 재정 지원 → 출산축하금, 부모급여, 보육료 지원 확대
- 공공 인프라 확충 → 공공산후조리원, 어린이 창의체험관 신설
- 취약계층 맞춤형 지원 → 난임·미숙아·청소년 한부모·다문화 가정 지원 강화
- 교육 지원 강화 → 무상교육 확대, 공교육 사각지대 지원
이러한 정책은 전국적으로도 경쟁력 있는 지원책으로, 아이 키우기 좋은 도시 평택을 만드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출산·육아·교육 혜택을 적극 활용하고 싶다면?
평택시청 공식 홈페이지 또는 읍·면·동 주민센터에서 자세한 지원 정보를 확인하자.